유럽 대륙이 달아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주 스페인은 최고기온이 45.7도, 포르투갈은 47도까지 올라갔고요. <br /> <br />영국, 프랑스, 독일도 40도를 웃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듣기만 해도 덥죠. <br /> <br />이런 폭염 탓에 유럽 21개 나라가 비상경보까지 발령했습니다. <br /> <br />폭염의 원인으로 블로킹 현상이 지목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거대한 고기압이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서 대기 흐름을 정체시키는 건데요. <br /> <br />공기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고 해서 '블로킹 현상'이라고 부릅니다. <br /> <br />지도를 보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대서양 쪽에는 저기압이 머물고 있는데, <br /> <br />이 저기압이 반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아프리카 대륙의 뜨거운 공기를 서유럽 쪽으로 밀어 올리는 겁니다. <br /> <br />유럽 대륙 쪽으론 거대한 고기압이 보이죠. <br /> <br />아프리카에서 올라온 더운 공기가 이 고기압에 막혀 빠져나가지 못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뜨거워진 지표면에서 열이 다시 올라오면서 더 더워지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달궈지기만 하면 언제 식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. <br /> <br />변수는 바로 제트기류입니다. <br /> <br />제트기류는 온도 차로 부는 강한 바람입니다. <br /> <br />날씨가 추운 남극, 북극 같은 극지방과 따뜻한 적도 지방의 사이에서 부는데요. <br /> <br />제트기류가 잘 흐를 때 정상적인 날씨를 만날 수 있죠. <br /> <br />지구온난화 등으로 북극의 기온이 올라가면 <br /> <br />제트기류의 힘이 약해지고 이렇게 구불구불한 형태로 변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결국, 뜨거운 공기층을 밀어낼 힘이 부족해지면서 유럽 대륙이 블로킹 고기압에 갇힌 겁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를 경고합니다. <br /> <br />영국 기상청에서는 탄소 배출 대책이 없다면 앞으로 3년마다 이런 폭염이 찾아올 거라고 경고하기까지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엄지민 (thumb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72014153804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